알라딘 전자책

검색
한국 고대사와 사이비역사학 (커버이미지)
알라딘

한국 고대사와 사이비역사학

역사비평사

젊은역사학자모임 지음, 역사비평 편집위원회

2017-02-02

대출가능 (보유:1, 대출:0)

책소개
저자소개
목차
사似.이而.비非 역사학
: 역사학인 척하지만 ‘역사’도 ‘학문’도 아닌

‘사이비역사학’의 선동과 사기에 대한 젊은 고대사학자들의 응답!
‘더 크고 힘센’ 고대국가를 상상하는 위험한 욕망의 실체는 무엇인가?


사이비(似而非)역사학이란, 한마디로 “역사인 척 흉내를 내지만 ‘역사’도 ‘학문’도 아닌 가짜”라는 뜻이다. 학문으로서의 함량미달도 문제려니와, 더 나쁜 것은 이들이 의도적으로 사료를 왜곡하고 조작하여 대중을 선동하고, 정치권과 영합하여 학문을 억누르고 있다는 점이다. 그동안 이덕일을 필두로 한 일단의 ‘사이비역사학자’들은 ‘더 크고 힘센’ 고대국가에 대한 대중의 욕망을 자극하고 부추기면서 학계의 연구를 ‘식민사학’으로 매도해왔다. 더불어 논쟁할 수 있는 ‘학문의 언어’가 아닌 폭력과 선동의 언어를 사용하는 그들에게, 그동안 학계는 대응을 자제해왔다. 그러나 대중들에 대한 그들의 악영향이 너무나 크고, 학계의 연구성과를 부정하는 그들의 정치적 힘이 점점 더 노골적인 테러로 변해가고 있는 이 시점에서, 한국 고대사를 연구하는 젊은 학자들이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다는 생각으로 뭉쳤다. 이 책 <한국 고대사와 사이비역사학>은 <환단고기>를 비롯한 조작된 역사책들의 맹점, 이덕일 등이 사료를 왜곡하고 조작하는 방법, ‘고토회복’의 욕망에 들떠 범하고 말았던 어처구니없는 실수들까지, ‘사이비역사학’의 민낯을 철저히 드러낸다. 그와 동시에, 식민사관은 물론 근대적인 역사학의 한계에 대해서도 철저히 반성하고 성찰하며 사실과 진실을 향해 나아가려 하는 젊은 연구자들의 성실한 고민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사이비 역사학의 행태와 해악

[사례 1] 사료의 왜곡과 조작
<img src="http://image.aladin.co.kr/img/img_content/8976965493_02.jpg" border="1" align="center" vspace="10" width="100%"><br clear=left>
한사군의 성격을 근대적 식민지로 착각한 이덕일은 ‘중국의 식민지=한사군’이 한반도 내에 존재했음을 인정한다면 이는 곧 ‘한국사는 식민지로 시작했다’는 뜻이 된다고 단정 짓는다. 그러면서 조선총독부가 이러한 주장을 위해 스스로도 의심할 수밖에 없는 거짓된 가설을 무리하게 밀어붙였다고 비판한다. 그는 조선총독부에서 펴낸 <낙랑군 시대의 유적>을 인용하여 일제의 식민사학을 비판하면서, 옅은 회색으로 표시된 ①을 근거로 삼았다. 그러나 바로 이어진 짙은 회색의 ② 내용은 모른 척했다. ②는 ①의 주장에 대한 해명이자 부연설명이었다.
‘내편’과 ‘남의 편’을 구별하고 ‘남의 편’ 기록은 아무렇게나 자르고 편집하여 왜곡해도 된다는 진영 논리는 역사 연구에 통용되지 않는다.

[사례 2] 자기 주장에 맞는 사료만 취사 선택
중국 사서에는 낙랑군이나 한사군이 한반도가 아닌 지금의 중국 영토 내에 있었다고 볼 수 있는 기록들이 존재한다. 고대사학계에서는 이를 후대에 설치된 ‘교군(僑郡)’에 대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렇게 볼 수 있는 근거는, 고구려에 의해 낙랑군과 대방군이 멸망한 뒤 313년에 장통이라는 사람이 모용외에게 투항하면서 천여 가(家)를 데리고 가니까 그들로써 군(郡)을 설치했다는 <자치통감>의 내용이다. 이덕일은 <한서> 지리지에 따르면 낙랑군 인구가 40만 명이 넘는데 천여 가(家)로 교군을 설치했다면 나머지 수십만 명은 어디로 사라졌냐고 묻는다. 얼핏 그럴듯하게 들리는 비판이다. 그러나 여기엔 함정이 숨어 있다. <한서> 지리지는 서기 2년의 통계이고, 낙랑군이 멸망한 것은 313년이다. 이덕일은 이 시간차에 대해서는 말해주지 않는다. 좀 더 가까운 시기의 <진서> 지리지는 낙랑군과 대방군의 인구를 8,600여 호로 셈했다. 이덕일은 자신의 다른 저작에서 <진서> 지리지를 인용한 적도 있다. 이 자료의 존재를 몰랐다고 할 수 없는 이유다. 그는 왜 좀 더 가까운 시기의 통계를 무시하고 구태여 300여 년의 시간차가 나는 통계를 들어 논리를 펼쳤을까?

[사례 3] 신념(?)에 들뜬 엉터리 실수
: 잘못 읽은 지도
<img src="http://image.aladin.co.kr/img/img_content/8976965493_01.jpg" border="1" align="center" vspace="10" width="100%"><br clear=left>
그림은 <중국역사지도집> 2권에 실린 <서한 유주사자부> 지도 일부이다. ‘고구려’와 ‘현도군’ 지명을 구분하는 박스선은 이해를 돕기 위해 추가한 것이다.
이덕일은 동북아역사재단이 제작한 <동북아역사지도>가 중국의 동북공정을 그대로 반영했다고 맹렬히 비판하면서 이 지도를 언급했다. 중국이 서한(B.C. 202~서기 8) 시대의 지도에 ‘고구려군’이라는 명칭을 써놓은 것은 고구려사를 중국사로 둔갑시키려는 동북공정의 일환인데 동북아역사지도에 이 지도가 무비판적으로 제시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도상의 ‘군(郡)’ 글자는 현도군의 ‘군’이다. 무엇이 역사학으로 박사학위까지 받은 사람에게 이런 초보적인 실수를 저지르게 하는 것일까?
이 밖에도 의도적인 조작인지 어처구니없는 실수인지 헷갈리는 그들의 ‘헛발질’은 하나하나 셀 수 없다. 그러나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이들이 자신의 주장을 ‘민족주의 사학’으로 포장하면서 고대사학계 전체를 ‘식민주의 사학’으로 몰아붙이며 ‘학문에 대한 정치적 테러’를 일삼고 있다는 점이다. 그들은 친일잔재 청산이라는 시대적 과제에 대한 국민적 열망을 교묘히 이용하여 ‘민족주의 vs 식민주의’ 구도를 만들어내고, ‘타율성론/정체성론/반도적 성격론’의 혐의를 고대사학계 전반에 뒤집어씌우고 있다. 그러나 “고조선(혹은 고구려·백제·신라)은 중국 대륙에 있었다”는 주장은 뒤집으면 “한반도에 제한된 나라는 대륙에 휘둘리는 약소국에 불과하다”는 타율성론과 정체성론의 강박 그 자체다. 중국의 동북공정은 비난하면서 고구려와 발해의 옛땅을 두고 팽창의 욕망을 불태우고, 한사군과 임나일본부를 근대적 식민지로 착각하면서 임나와 임나일본부의 기본적인 구별마저 헷갈리고 있다. 차분하고 치밀한 연구 자세는 간 데 없고, 강박관념과 피해의식에 사로잡혀 ‘역사’를 ‘제국에의 욕망’을 발산하는 무기로 착각하는 그들이야말로 ‘식민사학’이 이 땅에 버리고 간 기형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젊은역사학자모임’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2014년 결성된 소위 ‘식민사학해체운동본부’는 동북아역사재단의 사업들을 강하게 저지하고 나섰다. 『한국 고대사 속의 한사군(The Han Commanderies in Early Korean History)』 출간 및 동북아역사지도사업 등을 일제 식민사관을 그대로 담고 있다는 명분으로 폐지시키고자 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파괴적 시도는 결국 일정한 성공을 거두었다. 그 배경에는 ‘동북아역사왜곡대책특별위원회’(동북아역사특위)로 대표되는 다수의 국회의원들의 동조가 크게 작용했다. 학문적 엄밀성을 갖추지 못한 사이비 역사가들의 주장이 마침내 실질적인 정치권력을 등에 업고 정당한 학문적 성과를 무산시키는 데 이르렀던 것이다. 2010년 이래로 소위 ‘역사평론가’를 자칭하는 저술가들이 쏟아놓은 거짓말들은 진보 언론인과 정치인, 인기 팟캐스트 진행자 및 유명 학원 강사의 입을 통해 전파되어 기성세대뿐 아니라 어린 학생들의 귀에까지 속속 스며들어갔다. 가만히 있다가 졸지에 식민사학의 종자(從者)가 되어버린 석·박사과정 대학원생들이 반발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특히 젊은 대학원생들이 지도교수들의 ‘위압’에 의해 기존의 식민사학 논리를 그대로 따를 수밖에 없었다는 이덕일 씨의 발언 등은 이런 분노에 기름을 부었다.
2015년 여름부터 30여 명의 소장 연구자들이 의기투합하여 ‘젊은역사학자모임’을 조직한 것은 바로 이러한 배경에서였다. 처음에는 한국역사연구회 등에서 함께 활동하며 서로 얼굴을 익히 알던 사람들로 구성되었는데, 이후 점차 많은 대학의 연구자들이 활동에 직접 참여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2015년 11월부터 2016년 9월까지 경희대 인문학연구원에서 다섯 차례 고대사 관련 콜로키움을 열었다. <한국 고대사와 사이비역사학>에 실린 글들은 ‘젊은역사학자모임’이 콜로키움에서 발표했던 논문들을 대중 독자들과 공유하고자 새롭게 다듬고 엮은 것들이다. 이제 책의 출간과 함께 ‘젊은역사학자모임’도 1기 종료를 앞두고 있다. ‘젊은역사학자모임’의 활동 이후 학계 차원의 정식 대응이 차례로 이어지면서, 현재 ‘사이비역사학’ 저술가들의 활동은 다소 주춤한 상황이다. 진보 언론들 역시 경계심을 가지게 되어 그들의 일방적인 논설을 추종하여 실어주지 않는다. 다만 언젠가 다시 우리 사회의 민족주의 혹은 쇼비니즘적 감성에 기대어 도래할 수 있는 그들의 활동을 경계하는 노력은 지속될 필요가 있다. 특히 연구자들이 오랫동안 학계의 성과를 대중화하는 데 소홀했던 것이 이번 사태를 심화시키는 가장 큰 원인이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공지사항

등록된 공지사항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